2026년도 최저임금이 확정되면서 많은 근로자와 사장님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. 근로자는 급여가 얼마나 오를지 궁금하고, 사업자분들은 시급과 그에 대한 주휴수당, 일급, 주급, 월급을 계산해야 지출 비용이 얼마나 필요한지 알 수 있기 때문이죠.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6 최저임금 확정 금액과 인상률, 실제 적용되는 급여 계산 방법을 상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.
2026 최저임금 시급 확정 및 인상률
고용노동부는 2026년 최저임금을 시급 10,320원으로 확정했습니다. 이는 2025년 10,030원에서 290원 인상, 인상률은 2.9%입니다.
- 2025년 시급: 10,030원
- 2026년 시급: 10,320원
- 인상액: +290원
- 인상률: 2.9%
최저임금은 근로자의 생활 안정과 소득 보장을 위해 매년 심의를 거쳐 결정되며, 2026년 1월 1일부터 적용됩니다.
일급 계산 (8시간 기준)
시급을 기준으로 하루 8시간 근무 시 일급을 계산해 보겠습니다.
- 계산식: 시급 × 8시간
- 2026년 일급: 10,320원 × 8시간 = 82,560원
▶ 2025년 대비 하루 약 2,320원이 인상된 금액입니다. 즉, 하루만 근무해도 2025년보다 조금 더 여유 있는 수입을 얻을 수 있습니다.
주휴수당 포함 주급 계산
주휴수당은 주 15시간 이상 근무한 근로자가 1주일 개근했을 경우, 추가로 1일 치 임금(8시간)을 지급받는 제도입니다. 2026 최저임금으로 주휴수당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.
- 계산식: (주 40시간 + 주휴 8시간) × 시급
- 2026년 주급: (40시간 + 8시간) × 10,320원 = 495,360원
▶ 주휴수당을 포함하면 단순 주 40시간 근무 임금(412,800원)보다 약 82,560원이 더해집니다.
주휴수당은 주 15시간 이상 근무자가 정해진 요건을 충족했을 때 반드시 받아야 하는 법적 권리입니다.
월급 계산 (209시간 기준)
월급 계산은 월 소정근로시간 209시간을 기준으로 합니다.
- 계산식: 시급 × 209시간
- 2026년 월급: 10,320원 × 209시간 = 2,156,880원
▶2026 최저임금을 반영하면 2025년 월급(2,096,270원)보다 약 60,610원 인상된 금액입니다.
정규직 근로자가 최저임금만 받더라도 한 달 기준 215만 원 이상의 급여를 받을 수 있게 됩니다.
2025년 vs 2026년 최저임금 비교
구분 | 2025년 | 2026년 | 인상액 |
---|---|---|---|
시급 | 10,030원 | 10,320원 | +290원 |
일급(8시간) | 80,240원 | 82,560원 | +2,320원 |
주급(주휴 포함) | 482,400원 | 495,360원 | +12,960원 |
월급(209시간) | 2,096,270원 | 2,156,880원 | +60,610원 |
▶ 표를 보면, 시급 인상은 290원이지만 월급으로 환산하면 6만 원 이상 차이가 납니다. 작은 시급 인상도 누적되면 생활비에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
결론
2026 최저임금은 시급 10,320원, 인상률 2.9% 로 확정되었습니다.
- 일급: 82,560원 (8시간 기준)
- 주급: 495,360원 (주휴수당 포함)
- 월급: 2,156,880원 (209시간 기준)
주휴수당은 주 15시간 이상 근무자라면 반드시 챙겨야 하는 권리이므로, 본인의 근무시간을 확인하고 정확히 계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이번 최저임금 인상으로 근로자들은 소득이 조금 더 늘어나고, 사업주들은 인건비 관리가 더욱 중요해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.
2026 최저임금 FAQ
Q. 2026년 최저임금은 얼마인가요?
A. 2026년 최저임금은 시급 10,320원으로 확정되었으며, 2025년 대비 2.9% 인상되었습니다.
Q. 주휴수당은 누구나 받을 수 있나요?
A.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, 주 1회 이상 개근한 근로자는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.
Q. 월급 계산은 어떻게 하나요?
A. 월 소정근로시간 209시간을 기준으로 계산하며, 2026년 기준 월급은 2,156,880원입니다.